top of page

미성년자녀의 나이문제(Age out)

2002년 8월 미성년자 신분보호법(Child Status Protection Act)  시행이전에는 부모의 영주


권신청시 동반 미성년자 (derivative beneficiary)는 만 21세 생일이전에 영주권이 승인되어야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그 자녀가 만21세 생일을 넘긴 경우에는 가족이민 우선순위 중에서 영주권자의 미혼성년자녀의 범주(2B)에 속하게 되어 영주권을 받기까지 많은 시간을 기


다려야 했다.



미성년자신분보호법에 따르면 다음의 세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시민권자가 미성년자녀를 위해 영주권신청을 하는 경우: 시민권자의 직계가족


(Immediate Relative)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시민권자인 부모가 그 자녀를 위해 비자청원서(I-130)이 접수된 일자가 자녀의 만21세 생일이전이면 비록 그 자녀가  실제로 21세를 넘겼더라도 미성년자녀의 신분은 보호되어 최종적으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민권자인 아버지가 5월 20일에 21살이 되는 딸을 위해 비자청원서를 5월 19일에 이민국에 접수시킨 경우 그후에 그 딸의 나이가 23살가 되었더라도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비자청원서 접수일이 미성년자녀의 나이제한의 기준일이 되는 것이다.



(2) 영주권자인 부모가  미성년자녀(2A)를 위해 비자청원서를 접수한 경우:  그 부모가 시민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귀화신청서(N-400)가 승인된 날이 여전히 그 자녀가 만21세 생일이전이며 이 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주권자인 어머니가19살된 딸을 위해 비자청원서(I-130)를 제출한 후 귀화신청서(N-400) 접수하여 그 딸의 21세 생일인 5월 20일 하루 전인 5월 19일에 귀화가 승인된 경우 그 딸은 시민권자의 미성년자녀의 범주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그 후에라도 시민권자의 미성년자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3) 영주권자 부모가 미혼성년자녀(2B)로 영주권신청을 하는 경우와 부모가 고용관계를


통해 영주권수속을 하면서 동반 미성년자녀로 함께 영주권신청을 하는 경우: 이 경우는 계산이 복잡하다. 첫째, 비자청원서(I-140 /I-130)가 승인되고 국무성의 비자게시판에 따라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우선일자(Priority date)가 도래해야 한다. 둘째, 이 우선일자로부터 1년이내에 영주권수속이 시작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위의 비자청원서가 계류중이었던 기간을 뺀 날짜로 미성년을 판단한다.




사례1) 부모의 취업이민청원서(I-140)가 딸이 만 20세이 되던 해에 신청되었고 그로부터 2년후에 이 청원서가 승인되어 바로 영주권(I-485)을 신청한 경우 비록 가족의 영주권신청은 딸이 만 22세가 된 후에 이루어졌지만 비자청원서가 승인된 후에 우선일자가 도래하여 즉시 영주권을 신청하게 된 경우에는 비자청원서가 계류중이었던 2년기간을 뺀 날짜로 계산된다. 따라서 미성년자녀의 나이는 20살로 고정이 되고 따라서 부모의 영주권신청에 동반하여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사례2) 영주권자 부모가 미성년자녀인 아들이 20살되는 해에 비자청원서(I-130)를 신청했고 2년후에 승인되고 그 아들이 24살이 되는 해에 우선일자가 도래한 경우 결국 비자청원서의 계류기간인 2년만 보호받을 수 있지만 그 아들은 이미 22살이 되어 미혼성년자녀(2B)로 자동변경되어 또 다시 우선일자를 기다려야 한다.



이상이 미성년자의 동반 영주권신청시에 적용되는 나이제한에 대한 미성년자 지위보호법의

개괄적인 내용이다. 핵심내용은 이 법시행이전에는 영주권을 취득하는 날짜가 만21세 생일이전인지가 중요했으나 현재는 영주권신청서를 제출하는 일자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불법체류 임시면제(Provisional Waiver: I-601A)

2013년 3월 4일부로 밀입국등 불법체류로 미국내에서 영주권신청이 불가능한 시민권자의 직계가족(배우자, 미성년자녀, 부모)의 경우 불법체류로 인한 재입국금지규정(3/10 years bar)에 대한 면제신청을 미국내에서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

 
 
 
추방구제 행정조치(Deferred Action)

지난 6월 15일에 미정부는 전격적으로 추방대상이나 추방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을 구제하는 행정조치를 공표하였다. 기존에 논의되었던 드림법안의 내용을 다소 변형한 것이다. 입법적으로 불체 청소년을 일괄적으로 구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행정명령으로 현재...

 
 
 
해고통보 후 취업비자유지

최근에 미국의 어려워진 경제상황으로 인해 대량해고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를 우선 해고하라는 목소리도 있다. 따라서 취업비자(H1b)를 가진 외국인의 신분유지가 문제된다. 첫번째 질문은 해고된 후 새로운 고용주를 찾을 시간,...

 
 
 

Comentários


상담 문의

Contact us for a consultation

연락처

2454 E.  Dempster St #310

Des Plaines, IL 60016

Tel: 847-375-9620

THANKS FOR SUBMITTING!

The content and photographs on this website are copyrighted or licensed material and may not be downloaded for other than personal use.

Retransmission, republication, reproduction, or any other use of the content or photographs is prohibited.

©2020 Law Office of Changhawn Lee. created by L.Corea
bottom of page